본문 바로가기
[ Unreal5 ]/- 언리얼엔진5 실습

언리얼엔진5 Online Subsystem Steam Setting

by MRG 2025. 2. 13.
728x90
반응형

 

▣ C++ Platform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Online Subsystem Steam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. 

 

 

▣ build.cs에서 OnlineSubsystemSteam, OnlineSubsystem을 추가합니다.

Unreal Engine에서 Online Subsystem Steam을 사용하려면 Build.cs 파일에 관련된 모듈을 추가해야 합니다.

이는 Unreal Build System(UBT)이 컴파일 시 필요한 모듈을 포함하도록 지시하기 위함입니다.

 

 

▣ 프로젝트 폴더에서 Config 폴더에 들어가서  DefaultEngine.ini  파일을 선택합니다. 

 

 

 

▣ API

https://dev.epicgames.com/documentation/ko-kr/unreal-engine/online-subsystem-steam-interface-in-unreal-engine

 

 

 

▣ 그리고 API에 있는 코드를 추가하고 저장합니다. 

 

 

▣ DefaultEngine.ini에 Steam 설정을 추가하는 이유


1) 게임 실행 시 Steam Online Subsystem을 자동으로 활성화
DefaultEngine.ini는 게임이 실행될 때 엔진에서 자동으로 불러오는 설정 파일입니다.
DefaultPlatformService=Steam을 설정하면, 게임이 시작될 때 Steam Online Subsystem이 자동으로 활성화됩니다.
이를 통해 세션 생성, Steam 친구 목록, 매치메이킹, 음성 채팅 등의 기능이 작동할 수 있습니다.


2) Steam 전용 네트워크 드라이버 사용
Unreal Engine의 기본 네트워크 드라이버(IpNetDriver) 대신, Steam의 SteamNetDriver를 사용하도록 설정.
이를 통해 Steam P2P 기능을 활용한 네트워크 연결이 가능하게 됩니다.


3) 게임 실행 시 네트워크 및 세션 기능을 정상적으로 사용하기 위함
DefaultEditor.ini는 에디터에서 실행할 때 적용되는 설정이고,
DefaultEngine.ini는 게임이 실행될 때 적용되는 설정입니다.
에디터가 아닌 Standalone Game 또는 Packaged Build(패키징된 빌드)에서 Steam 기능이 작동하려면 반드시 DefaultEngine.ini에 설정해야 합니다.

 

▣ +NetDriverDefinitions
Unreal Engine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(Net Driver)를 정의합니다.
Steam 전용 네트워크 드라이버(SteamNetDriver)를 기본 드라이버로 지정.
Fallback(대체 드라이버): Steam이 사용 불가능할 경우 기본 Unreal 네트워크 드라이버(IpNetDriver)를 사용하도록 설정.

 

▣ [OnlineSubsystem]
Unreal Engine이 사용할 기본 온라인 서브시스템(Online Subsystem)을 설정합니다.
DefaultPlatformService=Steam을 지정하여 Steam을 기본 온라인 서비스로 설정.

 

▣ Steam을 온라인 서브시스템으로 사용하도록 설정
→ DefaultPlatformService=Steam

▣ 멀티플레이어를 Steam의 전용 네트워크 드라이버(SteamNetDriver)로 처리
→ Steam이 제공하는 네트워크 드라이버(SteamNetDriver)를 기본 드라이버로 설정하고,
Steam이 비활성화되면 IpNetDriver(기본 Unreal 네트워크 드라이버)로 대체.

▣ Steam을 통한 세션 생성 및 참가 가능
→ NetConnectionClassName="OnlineSubsystemSteam.SteamNetConnection"을 사용하여,
Steam의 SteamNetConnection 클래스를 통해 네트워크 연결.

 

▣ SteamDevAppId는 실제 프로젝트에서는 변경해야 함.
→ 480은 Steam 테스트용 ID이며, 실제 게임에서는 자신의 Steam App ID를 등록해야 합니다.
Standalone Mode에서 실행해야 Steam 네트워크 기능이 정상 동작 가능.

 

 

▣ 마지막으로 .uproject를 Generate Visual Studio로 다시 설정하면 됩니다. 

728x90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