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nity95 유니티 interface ▣ 인터페이스(interface)는 C#에서 클래스 또는 구조체가 구현해야 하는 멤버들의 집합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계약(contract)입니다. 인터페이스는 메서드, 속성, 이벤트, 인덱서 등의 시그니처만을 포함하며,실제 구현은 제공하지 않습니다. 이를 통해 서로 다른 클래스들이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도록 강제할 수 있습니다. ▣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이유 일관성 유지: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클래스들이 동일한 메서드나 속성을 구현하도록 강제할 수 있습니다. 다형성 지원: 인터페이스 타입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클래스의 객체를 동일한 방식으로 다룰 수 있습니다. 유연한 설계: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면 코드의 결합도를 낮추고, 더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. 다중 상속의 대안: C#은 클.. 2024. 8. 13. 유니티 abstract ▣ abstract 키워드는 C#에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(OOP)의 중요한 개념인 추상화(abstraction)를 구현하는 데 사용됩니다. 추상 클래스와 추상 메서드를 정의할 때 사용되며, 구체적인 구현을 제공하지 않고, 파생 클래스(자식 클래스)에서 반드시 구현해야 하는 멤버를 선언하는 데 활용됩니다. ▣ abstract 키워드의 사용 이유 공통 인터페이스 제공: 추상 클래스는 자식 클래스들이 공통으로 가져야 할 메서드나 속성을 정의합니다. 그러나 그 구현은 자식 클래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코드의 일관성과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 - 강제 구현: 추상 메서드를 선언하면, 이 메서드를 상속받는 모든 자식 클래스는 반드시 해당 메서드를 구현해야 합니다. 이를 통해 코드의 일관성을 .. 2024. 8. 13. 유니티 virtual, override ▣ 부모 타입에 객체에 Dog를 참조하여도 부모메소드가 호출됩니다. ▣ virtual과 override 키워드는 C#에서 상속 관계를 활용할 때 주로 사용되는 키워드입니다. 이들은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 간의 메서드 재정의(Overriding) 작업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▣ virtual 키워드 정의: 부모 클래스에서 메서드나 속성을 정의할 때, 해당 메서드나 속성을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키워드입니다. 언제 사용되는가: 부모 클래스에서 정의된 메서드가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(override)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사용합니다.▣ override 키워드 정의: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의 virtual로 선언된 메서드나 속성을 재정의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. 언.. 2024. 8. 13. 유니티 base 키워드 ▣ base 키워드는 C#에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상속(inheritance) 개념을 활용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.base 키워드는 부모 클래스(또는 기본 클래스)의 멤버(필드, 메서드, 속성 등)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이를 통해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확장하거나,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.그리고 부모클래스를 상속해야합니다. https://learn.microsoft.com/ko-kr/dotnet/csharp/language-reference/keywords/base base 키워드 - C# referenceC#의 파생 클래스 내에서 기본 클래스의 멤버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base 키워드에 대해 알아봅니다.learn.microsoft.com 2024. 8. 13. 유니티 예외 처리 ▣ 구체적인 예외 클래스 FormatException 문자열을 숫자나 날짜 등 특정 형식으로 변환할 때 형식이 맞지 않을 경우 발생합니다. 예시: int.Parse("abc"); IndexOutOfRangeException 배열이나 컬렉션의 인덱스가 범위를 벗어날 때 발생합니다. 예시: int[] array = new int[5]; int value = array[10]; NullReferenceException 객체가 null 참조일 때 해당 객체의 멤버에 접근하려 할 때 발생합니다. 예시: object obj = null; obj.ToString(); InvalidOperationException 메서드 호출이 객체의 현재 상태와 적합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. 예시: IEnumerator enumer.. 2024. 8. 8. 유니티 마우스 위치로 총알 발사 ▣ Player 오브젝트에 Gun 오브젝트를 추가하고 Sprite Renderer와 GunManager라는 스크립트를 추가합니다. ▣ 그리고 Gun안에 BulletPos라는 이름에 오브젝트를 상속하고 총알이 발사되는 위치로 이동합니다. ▣ GunManager 스크립트로 가서 메인카메라, 마우스위치, 총알프리팹, 총알 나가는 위치, 총 쏘는 여부를 나타내는 변수, 시간, 총 쏘는 딜레이타임변수를 각각 선언합니다. 그리고 Start() 함수에서 mainCamera라는 대입 합니다. ▣ 그리고 화면공간에 마우스 위치를 가져오는 코드, 방향을 구하는 코드, 수평축으로부터 한 점까지 각도를 구하는 함수를 각각 작성하고 총 회전값에 대입합니다. 딜레이 시간에 따라 총알이 복제되는 코드까지 완성합니다. .. 2024. 7. 11. 유니티 애니메이션 스프라이트 ▣ 애니메이션 에셋을 가져오고 스프라이트를 선택한 다음 Sprite Mode와 Filter Mode를 지정하고 Sprite Editor을 선택합니다. ▣ Silce메뉴를 선택하고 Type을 Automatic을 선택한 다음 Slice로 자르기를 진행합니다. 스프라이트 한 개를 선택하여 Pivot 중심을 변경할 수도 있고 스프라이트 자르는 부분을 직접 조절도 할 수 있습니다. ▣ 오른쪽마우스를 클릭하여 Create에서 Animation에 Animation과 Animator Controller를 생성합니다. ▣ Scene에 Player오브젝트를 생성하고 Animator Component를 추가한 다음 해당 애니메이션에 넣어 준 다음에 직접 프레임 별로 스프라이트를 넣어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추가할 .. 2024. 7. 10. 유니티 3d ui ▣ 먼저 Canvas를 생성합니다. Canvas Render Mode를 World Space으로 지정합니다. https://docs.unity3d.com/kr/530/Manual/UICanvas.html 캔버스 - Unity 매뉴얼 모든 UI 요소는 Canvas 안에 위치해야 합니다. 캔버스는 Canvas 컴포넌트가 있는 게임 오브젝트이며 모든 UI 요소는 반드시 어떤 캔버스의 자식이어야 합니다. docs.unity3d.com ▣ 월드 공간(World Space) 이 렌더 모드에서는 캔버스는 씬에 있는 다른 오브젝트처럼 동작합니다. 캔버스의 크기는 사각 트랜스폼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UI 요소는 3D 배치에 기반하여 씬의 다른 오브젝트의 앞 또는 뒤에 렌더링 됩니다. 이 방식은 월드의 일.. 2024. 1. 18. 유니티 뛰는 애니메이션 ▣ 플레이어 애니메이션에 Parameters를 Float 형식으로 추가합니다. ▣ Base Layer에서 From New Blend Tree를 추가합니다. ▣ Blend Tree 이름을 지정하고 기본애니메이션과 연결합니다. Parameters는 아까 생성한 Run으로 지정하고 기본값은 0으로 합니다. ▣ Blend Tree에 두 개의 애니메이션을 추가합니다. ▣ 플레이어 스크립트로 들어가서 움직임 입력을 받은 코드에 Abs를 이용해서 앞뒤좌우 상관없이 모두 다 애니메이션에 값을 양수 1로 할 수 있게 Abs 함수를 사용했습니다. https://docs.unity3d.com/kr/530/ScriptReference/Mathf.Abs.html Mathf-Abs - Unity 스크립팅 API Returns t.. 2024. 1. 18. 유니티 crosshair ▣ 먼저 UI에 Panel를 생성합니다. Panel Component에 Image는 삭제하고 Anchors로 Midlle center로 정렬합니다. 그리고 크기 Width, Height는 100으로 지정합니다. ▣ UI Image를 Panel안에 상속하여 생성하고 각각 위치에 맞게 정렬한 다음에 크기를 지정합니다. ▣ 그리고 Panel 오브젝트에 스크립트를 추가합니다. ▣ RectTransfrom crossHair; 를 통해서 Panel에 크기를 조절하기 위함입니다. ▣ WeaponManager코드는 총을 쏘는 스크립트를 가져오기 위함입니다. ▣ 총을 쏘면 Mathf.Lerp 함수를 이용해서 서서히 크기를 조절합니다. https://docs.unity3d.com/kr/530/ScriptReference/.. 2024. 1. 18. 유니티 총 파티클효과 ▣ ParticleSystem 을 가져와서 Play()함수로 재생이 가능합니다. https://docs.unity3d.com/kr/2022.3/Manual/class-ParticleSystem.html 파티클 시스템 - Unity 매뉴얼 Particle System 컴포넌트는 씬 안에 다수의 작은 2D 이미지를 생성하고 애니메이션하여 액체, 구름 및 불꽃 같은 유체 엔티티를 시뮬레이션합니다. 파티클 시스템과 그 용도에 대한 전체 개요는 파 docs.unity3d.com 2024. 1. 17. 유니티 카메라쉐이크 ▣ 코루틴 호출 시 -> 카메라 오지지 널 위치 저장 -> whlie문을 이용해서 흔들기는 시간까지 반복 -> 랜덤으로 흔들기 강도만큼 곱하기 저장 -> 카메라 위치 x, y, z 각각 랜덤으로 만든 값을 더하기 하여 흔들기 -> 흔들기가 끝나면 다시 원래 위치로 초기화 ▣ 발사버튼을 클릭하면 카메라쉐이크 코루틴을 호출합니다. https://docs.unity3d.com/kr/2022.3/Manual/Coroutines.html 코루틴 - Unity 매뉴얼 코루틴을 사용하면 작업을 다수의 프레임에 분산할 수 있습니다. Unity에서 코루틴은 실행을 일시 정지하고 제어를 Unity에 반환하지만 중단한 부분에서 다음 프레임을 계속할 수 있는 메서드입니 docs.unity3d.com 2024. 1. 17. 유니티 GetAxis 오류 해결방법 ▣ Project Settings -> Player -> Configuration -> Active Input Handing* 을 Both으로 설정하면 됩니다. 2024. 1. 16. 유니티 머티리얼 핑크색 오류 해결방법 ▣ Render Pipeline Converter에서 Material Upgrade(머티리얼 업그레이드)를 해야 하는 이유는Unity의 렌더링 파이프라인(Render Pipeline)이 변하면서,기존의 Standard Shader를 사용하는 머티리얼들이 새로운 파이프라인에서 제대로 렌더링 되지 않거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Unity는 현재 다음과 같은 주요 렌더링 파이프라인을 제공합니다:Built-in Render Pipeline (기본 렌더 파이프라인): 기존 Unity 프로젝트에서 주로 사용되던 파이프라인입니다. Universal Render Pipeline (URP): 성능과 호환성을 중시한 경량 렌더 파이프라인입니다. High Definition Render Pipeline (.. 2024. 1. 16. 유니티 총알 경로 그리기 ▣ 프리팹으로 만든 총알에 경로를 그리기 위해서는 Component에 Trail Renderer를 추가합니다. https://docs.unity3d.com/kr/2021.3/Manual/class-TrailRenderer.html Trail Renderer 컴포넌트 - Unity 매뉴얼 Trail Renderer 컴포넌트는 움직이는 게임 오브젝트 뒤에 폴리곤 트레일을 렌더링합니다. 이동하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이동하는 물체의 경로 또는 위치를 강조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docs.unity3d.com ▣ Trail Renderer 컴포넌트는 움직이는 게임 오브젝트 뒤에 폴리곤 트레일을 렌더링합니다. 이동하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이동하는 물체의 경로 또는 위치를 강조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▣ 기본적으.. 2024. 1. 14. 유니티 - [마우스 클릭시 게임오브젝트 이동] ▣ 게임오브젝트 생성, player오브젝트에는 스크립트 추가, AttackPos1은 콜라이더 추가 https://docs.unity3d.com/ScriptReference/Camera.ScreenToWorldPoint.html Unity - Scripting API: Camera.ScreenToWorldPoint World space coordinates can still be calculated even when provided as an off-screen coordinate, for example for instantiating an off-screen object near a specific corner of the screen. Screenspace is defined in pixels. The.. 2023. 10. 5. 유니티 [부모,자식오브젝트 분리] ▣ 안녕하세요.이번장에서는 부모, 자식 오브젝트를 분리하는 코드를 공부해 보겠습니다. ▣ 먼저 게임 오브젝트 2개를 생성해 주시고 게임오브젝트2를 게임오브젝트1에 자식으로 넣습니다.그리고 게임오브젝트 2에 스크립트를 하나 생성합니다. ▣ 게임오브젝트 2의 스크립트에서 Start() 함수에 gameObject.transform.SetParent(null); 를 작성합니다.SetParent() 함수는 부모오브젝트를 정해주는 함수인데 매개변수 값에 null 를 입력합니다.저장을 하고 ▣ 플레이를 누르면 위에 이미지처럼 오브젝트가 분리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▣ 부모를 추가하는 코드입니다. 2023. 1. 26. 유니티 - [Header] ▣ 안녕하세요. 이번장에서는 Header를 공부해보겠습니다. ▣ 우선 스크립트에서 [Header("Weapon")] Header키워드를 넣고 괄호 안에 제목을 넣어주세요. 저장을 하고 Inspector에 스크립트 화면을 확인하면 ▣ 이렇게 그룹화를 할 수 있습니다. 2022. 8. 25. 유니티 - [점프 예시1] ▣ 안녕하세요. 이번장에서는 2D오브젝트를 점프하는 코드 중 한 가지를 공부해보겠습니다. 점프를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상황에 따라 다양한 코드로 할 수 있습니다. 점프 코드를 할 때 핵심은 내가 어느 좌표로 할 것인가?를 생각해봐야 합니다. 저희는 2D에서 Y값을 바꿔 점프를 구현하겠습니다. ▣ 먼저 2D프로젝트를 생성해주시고, 2D Object에서 Sprites 두 개를 만들 만들어주세요. Player(원), Ground(사각형) ▣ 원과 사각형에 이름을 각각 Player와 Ground로 이름을 지정해주시고, Player오브젝트에 스크립트와 Rigidbody2D 그리고 ▣ Capsule Collider2D 컴포넌트를 추가해주세요. ▣ Ground에는 BoxCollider2D 컴포넌트.. 2022. 8. 25. 유니티 - [이동, 방향, 키입력] ▣ 안녕하세요. 이번장에서는 오브젝트 이동 코드, 오브젝트 방향 전환, 키 입력 코드 방법 중 한 가지씩을 공부해보겠습니다. 밑에 코드를 하나씩 작성하고 실행해보면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눈으로 직접 보며 공부해보세요. 2022. 8. 22. 유니티 - [오브젝트 이동 여러 예시] ▣ 안녕하세요. 이번장에서는 오브젝트를 이동(움직이는) 코드를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 장에서는 한 개씩 직접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확인해보시면서 코드를 작성해주세요. 코드마다 설명을 주석으로 넣어두었습니다. 나중에 바로바로 코드를 사용할 수 있게 주석을 넣는 습관도 함께 들이면 좋습니다.^^ ▣ 우선 2D프로젝트를 생성해주시고 2D오브젝트를 만들어주세요. 그리고 TestManager라는 스크립트를 만들어서 Player에 넣어주세요. ▣ 그리고 Rigidbody2D 컴포넌트를 추가해주세요. ▣ 그리고 스크립트를 열어서 코드를 작성해주세요. 기본으로 플레이어에 속도변수 그리고 Rigidbody2D를 사용하기 위한 변수를 작성해주세요. ▣ position을 변경해서 이동하는 코드, Rigidbody2D를 .. 2022. 8. 19. 이전 1 2 3 4 5 다음